맨위로가기

후지와라노 안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와라노 안시는 940년 후지와라노 모로스케의 딸로 태어나, 940년 나리아키라 친왕(훗날 무라카미 천황)과 결혼했다. 그녀는 무라카미 천황과의 사이에서 3남 4녀를 낳았으며, 958년 중궁에 책립되었다. 964년 사망한 후, 레이제이 천황 즉위로 황태후, 엔유 천황 즉위로 태황태후로 추증되었다. 안시는 레이제이 천황과 엔유 천황을 낳아 구조류 섭관가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조카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를 정점으로 하는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녀는 질투심이 강한 성격으로 묘사되며,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라카미 천황 - 후선 와카집
    후선 와카집은 헤이안 시대 중기에 편찬된 칙찬 와카집으로, 편찬 연도는 불분명하나 덴랴쿠 말년에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금 와카집》 시대 가인들과 당대 권문세족 및 여류 가인들의 작품이 비중 있게 수록된 것이 특징이다.
  • 무라카미 천황 - 무라카미 겐지
    무라카미 겐지는 무라카미 천황의 황자들을 시조로 하는 미나모토 씨의 일족으로, 도모히라 친왕의 아들 미나모토노 모로후사에서 시작된 나카노인류가 공경과 무가를 배출하며 번성하여 가마쿠라 시대 미나모토노 미치치카가 권세를 누린 후 고가 가문, 호리카와 가문, 츠치미카도 가문, 나카노인 가문 등이 겐지 씨장자를 세습했다.
  • 927년 출생 - 북송 태조
    북송 태조는 오대십국 시대의 혼란을 끝내고 송나라를 건국한 황제로, 군벌을 약화시키고 문치주의를 확립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며 과거 확대와 학원 설립으로 문화 발전을 장려했다.
  • 927년 출생 - 올라프 크바란
    올라프 크바란은 10세기 바이킹 지도자로서 노섬브리아 왕위를 차지하고 더블린을 통치했으며, 브루난부르 전투에 참여하는 등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964년 사망 - 교황 요한 12세
    교황 요한 12세는 955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즉위 후 교황령 회복과 오토 1세 대관을 주도했으나, 이후 오토 1세와의 갈등, 폐위와 복위 등 혼란스러운 행보를 보이며 로마 교회 권위 하락을 초래하여 로마 교회의 "철의 시대"를 야기했다.
  • 964년 사망 - 박수경 (고려 무신)
    박수경은 고려의 무신으로, 견훤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삼국 통일에 기여했으며, 정종 즉위 초 내란 평정에 공을 세워 대광의 지위에 올랐으나 아들들의 참소로 근심 속에 사망했다.
후지와라노 안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후지와라노 안시 (藤原安子)
출생927년
사망964년 6월 11일
사망 장소헤이안쿄 (교토)
묻힌 곳우지 능
씨족후지와라 씨 (북가, 구조류)
가족 관계
아버지후지와라노 모로스케
어머니후지와라노 세이시 (藤原盛子)
배우자무라카미 천황
자녀쇼시 내친왕
레이제이 천황
다메히라 친왕
호시 내친왕
시시 내친왕
엔유 천황
센시 내친왕
경력
입궁덴교 3년 음력 4월 19일 (940년 5월 28일)
여어 선하덴교 9년 음력 5월 27일 (946년 6월 28일)
황후 책봉덴토쿠 2년 음력 10월 27일 (958년 12월 10일) (중궁)
황태후 추증고호 4년 음력 11월 29일 (968년 1월 1일)
태황태후 추증안나 2년 음력 8월 25일 (969년 10월 9일)
일본 황후
재위 기간958년 12월 10일 – 964년 6월 11일

2. 생애

덴교 3년(940년) 4월 19일, 후지와라노 모로스케의 딸로 태어나 나리아키라 친왕(훗날의 무라카미 천황)과 결혼하여 황거 히교샤(飛香舎)에서 혼례를 올렸다. 덴교 7년(944년) 나리아키라 친왕이 동궁에 들어가면서 황태자비가 되었다. 덴교 8년(945년) 종5위상, 덴교 9년(946년) 종4위하로 승격되었다. 나리아키라 친왕이 무라카미 천황으로 즉위하자 종3위 뇨고가 되어 쇼요샤(후에 히교샤)에 거처를 하사받았다.

덴랴쿠 4년(950년) 5월 24일, 2황자 노리히라 친왕(훗날의 레이제이 천황)을 출산하여 생후 2개월 만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이는 구조류가 오노미야류와의 외척 경쟁에서 승리하고 번영하는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덴랴쿠 10년(956년) 종2위로 승격, 덴토쿠 2년(958년) 10월 27일 중궁에 책립되었다.

덴토쿠 4년(960년) 3월 백부 오키카타, 5월 아버지 모로스케가 사망하는 불행을 겪었다. 오와 4년(964년) 센시 내친왕 출산 직후 도노모료에서 38세로 사망, 우지능에 묻혔다.

고호 4년(967년) 11월 레이제이 천황 즉위로 황태후, 안나 2년(969년) 8월 25일 엔유 천황 즉위로 태황태후로 추증되었다. 안시가 낳은 두 천황의 즉위는 구조류 섭관가 발전의 근원이 되었고, 조카 미치나가를 정점으로 하는 전성기로 이어졌다.

2. 1. 초기 생애와 혼인

덴교 3년(940년) 후지와라노 모로스케(藤原師輔)의 딸로 태어났다. 같은 해 4월 19일, 나리아키라 친왕(훗날의 무라카미 천황)과 혼인하였다. 혼례는 황거 히교샤(飛香舎)에서 거행되었다.[5] 덴교 7년(944년), 나리아키라 친왕이 동궁(東宮)에 들어가면서 황태자비(皇太子妃)가 되었다.

2. 2. 황후 시절

덴교 9년(946년), 나리아키라 친왕이 무라카미 천황으로 즉위하면서 뇨고(女御)가 되었다. 쇼요샤(昭陽舎)에 거처를 하사받았고, 이후 히교샤(飛香舎)로 옮겼다.[5] 덴랴쿠 4년(950년), 2황자 노리히라 친왕(憲平親王, 훗날의 레이제이 천황)을 출산하였다. 노리히라 친왕은 생후 2개월 만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5] 덴토쿠 2년(958년), 중궁(中宮)에 책립되었다.

2. 3. 잇따른 불행과 죽음

덴토쿠 4년(960년) 3월, 백부인 산기 오키카타가 사망하고, 5월에는 아버지인 우대신 모로스케가 사망하는 불행을 겪었다.[5] 오와 4년(964년), 센시 내친왕을 출산한 직후 주전료(도노모료)에서 향년 38세로 사망하였다.[5]

이후 고호 4년(967년) 11월, 레이제이 천황의 즉위로 황태후로 추증되었고, 안나 2년(969년) 8월 25일에는 엔유 천황의 즉위로 태황태후로 추증되었다.[5]

2. 4. 사후 추증

康保|고호일본어 4년(967년), 레이제이 천황의 즉위로 황태후로 추증되었다.[5] 安和|안나일본어 2년(969년) 8월 25일에는 엔유 천황의 즉위로 태황태후로 추증되었다.[5]

3. 가족 관계


  • 아버지: 후지와라노 모로스케
  • 어머니: 후지와라노 모로코(후지와라노 쓰네쿠니의 딸)
  • 남편: 무라카미 천황
  • 자녀: 레이제이 천황, 다메히라 친왕, 엔유 천황을 포함한 3남 4녀 (자세한 내용은 자녀 섹션 참조)

3. 1. 자녀

이름출생사망비고
쇼시 내친왕948년951년
노리히라 친왕(레이제이 천황)950년1011년
다메히라 친왕952년1010년1품 식부경
시 내친왕953년992년이세 사이구
시시 내친왕955년1015년1품 준삼궁
모리히라 친왕(엔유 천황)959년991년
센시 내친왕(다이사이인)964년1035년가모 사이인


4. 성격 및 일화

무라카미 천황 즉위 전에 입내한 최초의 비이며, 황태자 노리히라 친왕(후의 레이제이 천황)을 비롯한 여러 황자녀를 낳아 천황의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오오카가미』에 따르면 질투심이 매우 강한 성격으로, 천황의 총애를 받던 선요전 뇨고 후지와라 요시코(안시의 사촌)의 미모에 질투를 느껴 벽구멍으로 토기 조각을 던졌다고 한다.[5] 이 사건으로 천황이 안시의 형제들에게 근신을 명하자, 안시는 천황에게 따져 이를 철회시켰다. 이는 안시의 강한 성격과 황태자 생모로서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엔유 천황은 어머니 안시를 사후에도 그리워하여, 섭정 후지와라 노리타다 사후 관백 취임이 유력시되던 후지와라 가네이에 대신 후지와라 가네미치를 관백으로 삼았다. 이는 가네미치가 제시한 안시의 유언("관백은 형제 순으로")에 따른 것이라는 고사(『오오카가미』)가 있다. 다만, 『신신경기』에는 유언의 존재만 기록되어 있고 내용은 전하지 않는다. 쿠리야마 케이코는 안시의 유언이 레이제이 천황 외 황자녀의 후견을 중궁 권대부였던 가네미치에게 의뢰한 것이며, 그 결과 엔유 천황이 가네미치를 관백으로 삼았다고 추측한다.[6]

5. 정치적 영향력

안시는 섭관 가문 출신으로, 당시 정치 상황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엔유 천황은 어머니 안시를 사후에도 그리워하며, 그녀의 유지를 받들어 정치적 결정을 내렸다고 전해진다.[6] 엔유 천황은 안시의 유언에 따라 관백 코레타다 사후, 그의 동생 가네미치를 관백에 임명하였다.[6] 안시의 소생인 레이제이 천황엔유 천황의 즉위는 구조류 섭관 가문의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6. 후대의 평가

안시는 레이제이 천황, 엔유 천황의 어머니로서, 이 두 천황의 즉위는 구조류 섭관가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훗날 안시의 조카 미치나가가 섭관 정치의 전성기를 이끌면서, 섭관 가문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5]

안시는 고호 4년(967년) 11월, 레이제이 천황 즉위로 황태후로 추증되었고, 안나 2년(969년) 8월 25일 엔유 천황 즉위로 태황태후로 추증되었다.

7. 능묘

무라카미 천황의 중궁 후지와라노 안시의 능묘는 우지릉(宇治陵)이며, 교토부 우지시 고하타나카무라에 있다.[5]

참조

[1] 서적 At the House of Gathered Leaves: Shorter Biographical and Autobiographical https://books.google[...]
[2] 서적 At the House of Gathered Leaves: Shorter Biographical and Autobiographical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ym 2 https://books.google[...]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ym 2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藤原安子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6] 서적 兼通政権の前提-外戚と後見 明石書店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